질병 예방과 관리

인도네시아 탄저균 탄저병 치사율 특징 증상 치료제

만수무강 무병장수 2023. 7. 5. 15:15

탄저병 치사율 증상

 

인도네시아에서 탄저병이 발생하면서 3명이 사망하고 수십명이 치료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보건당국은 이들이 이슬람 희생절 축제인 이드 알 아드하를 맞아 나눠 먹은 소고기 중에서 탄저균이 퍼진 것으로 의심하는데요.

탄저병과 탄저균 치사율, 특징, 증상, 치료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탄저병이란?

탄저병은 주로 소, 양 등의 초식 동물과 사람에게 전염되는 감염병입니다. 이 질병은 탄저균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탄저균이 포함된 풀을 먹은 가축이 감염되고, 이를 섭취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탄저균은 풀이나 흙과 같은 환경에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어 감염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탄저병 치사율

탄저병의 치사율은 감염된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탄저병 자체는 항생제 치료에 응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회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가 없거나 지연된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치사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탄저병의 치사율은 여러 요소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이에는 환자의 건강 상태, 면역력, 감염된 균주의 세기, 증상의 심각성, 적절한 치료의 유무 등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건강한 개인의 경우 치사율이 낮을 수 있지만, 노인이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치사율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탄저병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통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탄저균이 생성하는 독소는 미량으로도 치명적일 수 있어 생물학적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탄저균이 포함된 환경이나 음식물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탄저균 특징

탄저균은 토양, 풀, 동물의 배설물 등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특히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번식하기 쉽습니다. 감염된 동물은 박테리아를 배설하게 되고, 사람은 이러한 감염된 동물과 직접적으로 또는 감염된 음식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탄저병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탄저균 전파 경로

보통 탄저균 박테리아가 포함된 풀을 먹은 가축이 감염되고, 이 가축을 먹을 경우 사람에도 옮길 수 있습니다.

또한 소변, 배설물, 분만물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감염된 동물의 분비물이나 오염된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생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탄저병 증상

탄저병은 주로 설사, 피부 궤양, 부종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감염된 개체는 탄저균을 배출하며, 이를 통해 직접적인 접촉이나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처가 있는 피부나 점막을 통해도 감염이 가능합니다.

 

탄저병 치료제

탄저균 감염에 대한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생제가 사용됩니다.

  • 페닐비슬리린 (Phenoxymethylpenicillin 또는 Penicillin V): 탄저균 감염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항생제는 대부분의 탄저균 감염을 치료할 수 있으며, 경증한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주로 사용됩니다.
  • 니트로바이트(Nitrofurantoin): 탄저균에 대한 항생제로 사용되는 다른 옵션입니다. 이 항생제는 일부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알러지 반응이 있는 환자나 페닐비슬리린에 저항성이 있는 경우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 기타 항생제: 탄저균 감염의 중증도에 따라 다른 항생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의료 전문가가 증상과 감염의 특성을 평가한 후 결정됩니다. 항생제 선택은 감염의 심각성, 환자의 면역력, 약제에 대한 내성 패턴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탄저병 감염 예방 수칙

탄저병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이 중요합니다. 주로 가축에게 예방접종을 실시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고위험 지역이나 집단에서는 인간에게도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또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신선한 음식물을 섭취하고, 안전한 식품 위생 관행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가축과의 접촉 시 주의하고,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